로 끝나는 다섯 글자의 단어: 93개

한 글자:1개 두 글자:130개 세 글자:147개 네 글자:187개 🏵다섯 글자: 93개 여섯 글자 이상:68개 모든 글자:626개

  • 세잎종덩 : (1)미나리아재빗과의 덩굴성 식물. 길이는 1미터 정도이며, 잎은 마주나고 한 번 또는 두 번 세 쪽 겹잎이다. 8월에 남자색 꽃이 잎겨드랑이와 줄기 끝에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로 9월에 익는다. 어린잎은 식용하고 산중턱 이상의 숲에 나는데 한국, 만주 등지에 분포한다.
  • 구슬피덩 : (1)락규과의 한해살이 덩굴풀. 줄기는 길이가 1미터 정도이고 보라색이며 살지고 반들반들하다. 잎은 어긋나고 넓은 달걀 모양이다. 가을에 잎겨드랑이에서 꽃대가 나오고 분홍색의 꽃이 핀다. 식용하기도 하고 약용하기도 한다. 우리나라 각지에서 재배한다.
  • 쥐방울덩 : (1)쥐방울덩굴과의 여러해살이 덩굴풀. 높이는 1.5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세모진 심장 모양이다. 7~8월에 녹색을 띤 자주색의 꽃이 잎겨드랑이의 꽃대 끝에 한 개씩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를 맺는다. 뿌리와 열매는 약용한다. 산과 들에서 자란다.
  • 목별자덩 : (1)‘목별’의 북한어.
  • 부스께아 : (1)‘아궁이’의 방언
  • 곧은정맥 : (1)머리뼈안에 있는 경막 정맥굴 가운데 하나. 이것은 큰 대뇌 정맥과 아래 시상 정맥이 만나서 형성되며, 뒤쪽으로 달려 정맥굴 합류로 들어간다.
  • 경막 정맥 : (1)경막의 두 층 사이에 정맥피가 흐르는 길.
  • 차이티아 : (1)인도의 석굴 사원 양식. 동굴 안을 원형ㆍ방형(方形)으로 파내어 중앙에 솔도파(率堵婆)를 안치하고 좌우에 열주(列柱)를 배치하였는데, 기원전 2∼1세기에 시작하여 1세기에 성행하였다.
  • 층모랫동 : (1)‘청미래덩굴’의 방언
  • 해면 정맥 : (1)머리뼈안 바닥에서 안장의 양쪽 옆에 있는 경막 정맥굴. 속에 거미줄처럼 결합 조직띠가 얽혀 있으며, 속으로 속목동맥과 여러 뇌신경이 지나간다.
  • 담장이덩 : (1)포도과의 낙엽 활엽수. 줄기에 덩굴손이 있어 담이나 벽 따위에 달라붙어서 덩굴을 뻗어 올라가는 식물이다. ⇒규범 표기는 ‘담쟁이덩굴’이다.
  • 고려종덩 : (1)‘함북종덩굴’의 북한어.
  • 콩짜개덩 : (1)고란초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실 모양으로 길게 퍼지며, 잎은 성기게 나고 홀씨주머니무리가 달리는 포자엽과 달리지 않는 타원형의 영양엽이 있다. 산지(山地)의 나무줄기나 바위에 붙어서 자라는데 한국 남부, 일본,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 춤모랫동 : (1)‘청미래덩굴’의 방언
  • 자주종덩 : (1)미나리아재빗과의 낙엽 덩굴나무. 잎은 마주나고 두 번 세 쪽 겹잎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5~6월에 잎겨드랑이에 자줏빛 꽃이 피고 갈색 털이 있는 수과(瘦果)를 맺으며 뿌리는 약용한다. 관상용으로 재배하기도 하며 한국의 북부 지방, 일본, 중국, 시베리아, 아무르 등지에 분포한다.
  • 접시형 얼 : (1)코 주변부가 비정상적으로 꺼져 있는 얼굴.
  • 큰질빵덩 : (1)‘할미질빵’의 북한어.
  • 깊은깊이 : (1)땅 표면으로부터 깊은 곳에 건설된 굴.
  • 비틂 휨 좌 : (1)비틂 좌굴과 휨 좌굴이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현상.
  • 칠거지덩 : (1)‘칡덩굴’의 방언
  • 바다미 석 : (1)인도 마이소르주 북부에 있는 석굴. 모두 네 개의 석굴로 되어 있는데 제1~제3석굴은 힌두교의 것으로, 이 가운데 제3석굴의 규모가 가장 크고 578년에 만들어진 것이다. 제4석굴은 자이나교의 것으로 7세기에 만들어졌다.
  • 함북종덩 : (1)미나리아재빗과의 낙엽 활엽 덩굴성 나무. 줄기는 주로 붉은 자주색을 띠며, 잎은 마주나고 한 번 또는 두 번 세 쪽 겹잎인데 작은 잎은 피침 모양이고 톱니가 있다. 7월에 자주색 꽃이 잎겨드랑이의 짧은 가지에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로 9월에 익는다. 관상용이고 고산 지대에서 자라는데 우리나라 중ㆍ북부 지방에 분포한다.
  • 영월 고씨 : (1)강원도 영월군 하동면에 있는 석회암 동굴. 임진왜란 때 왜병과 싸웠던 고씨 일가가 이곳에 피신하였다고 한다. 길이는 3,388미터이며, 이 중에서 약 620미터 구간만이 일반인에게 공개되어 있다. 천연기념물 제219호.
  • 웃길잡이 : (1)굴 천장 가운데 부분에 설치한 작은 작업 굴. ⇒남한 규범 표기는 ‘윗길잡이굴’이다.
  • 베이비 모 : (1)디지털 시장을 개척하는 젊은 벤처 사업가를 할리우드의 주요 무대를 통하여 화려하게 데뷔한 스타급 신인 배우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 가로 정맥 : (1)정맥굴 합류 부분에서 뇌 뒷부분의 혈액을 모아 구불정맥굴을 통해 목정맥으로 보내는 확대된 정맥.
  • 량쪽물매 : (1)굴 가운데에서 양 입구 쪽으로 비탈지게 뚫은 굴. ⇒남한 규범 표기는 ‘양쪽 물매굴’이다.
  • 심장 정맥 : (1)대부분 심장의 정맥을 받는 짧은 정맥 줄기. 이것은 심방과 심실 사이의 경계인 방실 고랑의 뒷부분으로 달리며, 오른심방으로 열린다.
  • 비뇨 생식 : (1)배아에서 배설강이 두 부분으로 분리된 후 앞쪽을 이루는 부분. 이것에서 방광의 아랫부분, 남성 요도와 전립샘 부분, 여성의 요도와 질 어귀가 발생한다.
  • 가쪽 정맥 : (1)정맥굴 합류에서 양쪽 옆으로 계속되는 정맥굴. 이것은 구불정맥굴로 계속된다.
  • 윈먼산 석 : (1)중국 산둥성(山東省) 칭저우시(靑州市)에 있는 석굴 사원. 수나라, 당나라 때에 만들어졌다.
  • 대동맥 얼 : (1)대동맥 판막의 기능 부족으로 인하여 혈색이 나빠진 얼굴.
  • 함박이덩 : (1)‘함바기’의 북한어. ⇒남한 규범 표기는 ‘함바기 덩굴’이다.
  • 엘롤라 석 : (1)인도 뭄바이 주 아우랑가바드 서북부 엘롤라의 동쪽에 있는 석굴 사원군(寺院群). 바위 절벽에 34개의 불교, 힌두교, 자이나교의 석굴 사원이 있는데, 그 규모와 벽면에 새겨진 많은 조각은 미술사에서 매우 중요하다.
  • 라스코 동 : (1)프랑스 서남부, 도르도뉴(Dordogne) 지방에 있는 석회암 동굴. 동물을 묘사한 구석기 시대 후기의 벽화로 유명하며, 1940년에 발견되었다.
  • 청미래덩 : (1)백합과의 낙엽 활엽 덩굴성 관목. 줄기는 마디마디 굽으면서 2~3미터 자라고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으로 덩굴손이 있다. 5월에 노란색을 띤 녹색의 단성화가 산형(繖形) 화서로 피고 열매는 둥근 장과(漿果)로 9~10월에 빨갛게 익는다. 애순과 잎은 식용하고 뿌리는 약용하며 잔뿌리는 한 줌씩 묶어 솔을 만드는 데 쓴다. 산기슭에서 자라는데 한국, 일본, 중국, 필리핀 등지에 분포한다.
  • 앞머리뼈 : (1)‘이마굴’의 북한어.
  • 드레박웅 : (1)‘두레우물’의 방언
  • 개머루덩 : (1)포도과의 낙엽 활엽 덩굴나무. 잎은 어긋나고 3~5개로 갈라지며 원심형이다. 꽃은 녹색으로 여름에 취산(聚繖) 화서로 피고 열매는 장과(漿果)로 머루와 비슷하나 먹지 못한다. 골짜기나 개울가에서 자라는데 한국, 만주, 사할린, 일본,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 빌레못 동 : (1)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어음리에 있는 용암 동굴. 구석기 시대의 동굴로 1973년에 발견하였으며, 나선 모양으로 발달한 공동(空洞)의 형태가 희귀하다. 발견 당시 순록과 곰 따위의 빙하기 동물 화석과 당시 원시인들의 간단한 석기가 있었다. 고고학적 가치가 커서 비공개 영구 보존 동굴로 지정되어 있다. 길이는 9,020미터.
  • 퇴각식채 : (1)갱 구역의 경계선으로부터 갱도 쪽으로 물러나면서 석탄이나 광석을 캐는 방법.
  • 두루봉 동 : (1)충청북도 청주시에 있는 동굴. 1976년에 20만 년 전 구석기 시대의 유물인, 사슴ㆍ표범ㆍ원숭이 따위의 뼈와 사슴의 뼈로 만든 목걸이가 발견되었다. 면적은 40.48㎢.
  • 탄소성 좌 : (1)재료의 비례 한계 이상으로 압축된 부재에서 수직으로 크게 발생하는 변위.
  • 큰닭의덩 : (1)마디풀과의 한해살이 또는 여러해살이 덩굴풀. 길이는 1미터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며 밑부분은 심장 모양이다. 9~10월에 노란색을 띤 녹색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총상(總狀) 화서로 피고 열매는 세모진 수과(瘦果)로 검게 익는다. 유럽이 원산지인 귀화 식물로 우리나라 각지에 분포한다.
  • 시상 정맥 : (1)대뇌낫을 이루는 두 층의 경막 사이에 있는 두 정맥굴. 위 시상 정맥굴과 아래 시상 정맥굴이 있다.
  • 톈룽산 석 : (1)중국 산시성(山西省) 타이위안시(太原市) 서남쪽 톈룽산에 있는 불교 유적.
  • 달덩이 얼 : (1)지방이 축적되어 특별히 둥글게 된 얼굴. 쿠싱병 환자나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투여한 환자에게서 나타난다.
  • 구불정맥 : (1)가로 정맥굴이 관자뼈 바위 부분의 바로 뒤로 굽어서 계속되는 경질막 정맥굴. 목정맥 구멍에서 속목정맥으로 계속된다.
  • 참갈퀴덩 : (1)꼭두서닛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30cm 정도이고 뭉쳐나며, 잎은 돌려나고 바늘 모양이다. 6~8월에 흰 꽃이 가지 끝에 취산(聚繖) 화서로 피고 열매는 두 개씩 합쳐지며 갈고리 모양의 털이 있다. 우리나라 특산종으로 산과 들에서 자라는데 경상, 전남, 제주 등지에 분포한다.
  • 저온 실험 : (1)시험 연소를 실시하는 동안 최소한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주위의 조건을 정상적으로 유지하되 추진제나 로켓 동력 장치는 낮은 온도에서 작동하도록 고안된 로켓 시험실.
  • 운문산 석 : (1)중국 산둥성(山東省) 칭저우시(靑州市)에 있는 석굴 사원. 수나라, 당나라 때에 만들어졌다. ⇒규범 표기는 ‘윈먼산 석굴’이다.
  • 담재이덩 : (1)‘담쟁이덩굴’의 방언
  • 공막 정맥 : (1)안구의 방수가 정맥으로 들어가는 통로.
  • 얕은깊이 : (1)지표면으로부터 얕은 곳에 건설한 터널.
  • 사냥개 얼 : (1)얼굴의 주름이 늘어진 모습이 특징인 얼굴. 이완 피부증을 앓는 환자에게서 볼 수 있다.
  • 천룡산 석 : (1)중국 산시성(山西省) 타이위안시 서남쪽 톈룽산에 있는 불교 유적. ⇒규범 표기는 ‘톈룽산 석굴’이다.
  • 관상정맥 : (1)심장의 관상 홈에 가로놓이는 굵은 정맥굴.
  • 석회암 동 : (1)석회암 지대에서 지하수나 빗물이 석회암층의 내부를 녹여서 형성된 동굴.
  • 비탄성 좌 : (1)비탄성 영역의 응력과 변형도 관계에서 발생하는 좌굴.
  • 퐁 드 곰 동 : (1)1901년에 프랑스 남부 도르도뉴(Dordogne) 지방에서 발견된 동굴 유적. 들소, 사슴, 말, 매머드 따위를 그린 후기 구석기 시대 마들렌 문화기의 벽화로 유명하다.
  • 허파 동맥 : (1)허파 동맥의 시작 부분에서 세 개의 판막과 허파 동맥벽 사이의 약간 확장된 부분.
  • 수면하 채 : (1)광석을 수면 밑의 지하에서 캐내는 일.
  • 귓바퀴 앞 : (1)귓바퀴 앞쪽 피부에 있는 굴길이나 구멍. 발생 결함이 원인이다.
  • 산갈퀴덩 : (1)꼭두서닛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30cm 정도이고 무더기로 나며, 잎은 줄기마디에 네 잎씩 돌려나고 피침 모양 또는 선 모양이다. 6~7월에 연한 녹색 꽃이 취산(聚繖) 화서로 피고 열매는 쌍두상(雙頭狀)이다. 산지(山地)에 나는데 제주, 지리산, 평북 등지에 분포한다.
  • 새모래덩 : (1)새모래덩굴과의 낙엽 활엽 덩굴 식물. 잎은 어긋나고 방패 모양이다. 6월에 연한 누런색의 꽃이 원추(圓錐) 화서로 잎겨드랑이에서 피고 열매는 핵과(核果)로 9월에 검게 열린다. 뿌리는 이뇨제로 쓰인다. 한국, 중국 북부, 러시아의 동부 시베리아,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한쪽비탈 : (1)한쪽으로만 비탈지게 뚫은 굴. 굴 바닥의 물매가 3% 이상 된다.
  • 가운데 얼 : (1)얼굴의 중앙 부분으로, 눈 밑부터 입 위까지를 이르는 말. 뼈는 위턱뼈, 광대뼈, 코뼈가 포함된다.
  • 검멀레 동 : (1)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우도면에 있는 해식 동굴. 응회암이 해식 작용으로 침식되면서 만들어졌으며, 내부에 용암류, 분기공 따위의 동굴 생성물이 분포한다. 길이는 약 113미터.
  • 분무피복 : (1)뚫은 암석 겉면에 시멘트 모르타르나 콘크리트를 뿜어 붙이는 방법으로 지지 구조물을 씌운 굴.
  • 승모판 얼 : (1)분홍빛의 얼굴색을 띠는 얼굴. 승모 판막병을 앓는 환자에게서 나타난다.
  • 댕댕이덩 : (1)새모래덩굴과의 여러해살이 덩굴풀. 줄기는 목질에 가깝고 잔털이 있으며 물체에 감기어 뻗는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다. 초여름에 황백색의 잔꽃이 잎겨드랑이에 취산(聚繖) 화서로 피고, 열매는 핵과(核果)로 10월에 푸른 흑색으로 익는다. 뿌리는 약용하고 줄기는 바구니 제조용으로 쓴다. 산기슭 양지나 들에 나는데, 한국의 황해도 이남, 일본, 대만, 중국, 필리핀 등지에 분포한다.
  • 누른종덩 : (1)미나리아재빗과의 낙엽 활엽 덩굴성 관목. 높이는 3미터 정도이며, 잎은 마주나고 세 장으로 된 겹잎으로 작은 잎은 달걀 모양인데 거친 톱니가 있다. 8월에 노란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하나씩 피고 열매는 털이 있는 수과(瘦果)로 가을에 익으며 어린잎은 식용한다. 수풀 속에 자라는데 경남의 지리산, 경북, 제주, 평북, 황해 등지에 분포한다.
  • 맥적산 석 : (1)중국 간쑤성(甘肅省) 톈수이 시(天水市)에 있는 석굴 사원. 194개의 석굴과 마애불이 있으며, 석굴 안에는 소상(塑像)ㆍ벽화ㆍ석상(石像) 따위의 역사적 자료가 많다. ⇒규범 표기는 ‘마이지산 석굴’이다.
  • 량쪽비탈 : (1)굴 가운데에서 양 입구 쪽으로 비탈지게 뚫은 굴. ⇒남한 규범 표기는 ‘양쪽 비탈굴’이다.
  • 변형 좌전 : (1)체력 측정 방법에서 윗몸 앞으로 굽히기 테스트를 변형한 것으로, 조금 더 정확한 수치를 측정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방법. 윗몸 앞으로 굽히기와 동일하나 측정자를 0cm로 고정하지 않고 피검자의 상체 길이에 따라 이동하며 측정하여 정확성이 높다.
  • 풀머루덩 : (1)‘거지덩굴’의 북한어.
  • 위한산 석 : (1)중국 산둥성(山東省) 위한산 아래에 있는 포위사(佛峪寺) 옆의 석회암 절벽에 조각된 불단(佛壇). 584~600년에 제작된 것으로, 수나라 시대의 특징을 지닌 92개의 부처와 보살의 상이 다섯 층으로 나뉘어 조각되어 있다.
  • 음달종덩 : (1)미나리아재빗과의 낙엽 활엽 관목. 세잎종덩굴과 비슷하나 엽자루와 꽃줄기에 긴 흰 털이 있다. 산에서 자라는데 함북 관모봉에 분포한다.
  • 오일러 좌 : (1)압축 부재에 휨이 생길 때, 단면의 모든 응력이 탄성 한계보다 작은 휨을 이르는 말.
  • 공막 방수 : (1)안구의 방수가 정맥으로 들어가는 통로.
  • 털노박덩 : (1)노박덩굴과의 덩굴성 낙엽 활엽 관목. 길이는 10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인데 두껍고 뒷면 잎맥 위에 털이 있다. 5월에 녹색을 띤 노란색 꽃이 잎겨드랑이에 취산(聚繖) 화서로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로 가을에 익는다. 노란 애순은 식용하고 씨에서는 기름을 채취한다. 산기슭의 숲속에서 자라는데 충남 이남에 분포한다.
  • 비틂 횡 좌 : (1)비틂 좌굴과 횡좌굴이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
  • 고구마 덩 : (1)일반적으로 고구마를 수확한 다음 조사료로 사용할 수 있는 잎이나 줄기.
  • 드르박웅 : (1)‘두레우물’의 방언
  • 가장자리 : (1)림프샘에서 피막 바로 아래의 깊은 곳에 접하여 림프가 흐르는 길. (2)태반의 가장자리에서 정맥이 이어지지 않고 형성된 정맥 호수.
  • 모발 둥지 : (1)엉덩이의 엉치뼈가 내리눌려 몸털이 털구멍 속으로 들어가 피부 내부에서 샛길을 형성하고, 염증을 일으키는 감염증. 피부 표면이 오목하게 되거나 낭종이 형성되고, 샛길에서 고름이 나오는 경우가 많다. 주로 털이 많은 체질의 젊은 남성에서 나타난다. 환부를 절개하여 샛길을 적출하고, 거즈로 배농하는 외과 수술법으로 치료한다.
  • 담쟁이덩 : (1)포도과의 낙엽 활엽수. 줄기에 덩굴손이 있어 담이나 벽 따위에 달라붙어서 덩굴을 뻗어 올라가는 식물이다.
  • 노랑종덩 : (1)미나리아재빗과의 낙엽 활엽 덩굴성 관목. 높이는 3미터 정도이며, 잎은 마주나고 세 장으로 된 겹잎으로 작은 잎은 달걀 모양인데 거친 톱니가 있다. 8월에 노란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하나씩 피고 열매는 털이 있는 수과(瘦果)로 가을에 익으며 어린잎은 식용한다. 수풀 속에 자라는데 경남의 지리산, 경북, 제주, 평북, 황해 등지에 분포한다.
  • 고리 정맥 : (1)해면 정맥굴과 각각의 면이 연결되어 있는 뇌하수체 주위의 정맥굴. 좌우 해면 정맥굴과 해면 간 정맥굴로 구성되어 있고, 뇌하수체를 둘러싸는 경질막 정맥을 형성한다.
  • 수염종덩 : (1)미나리아재빗과의 낙엽 활엽 덩굴나무. 길이는 3미터 정도이며 잎은 마주나고 5~7장의 작은 잎으로 된 우상 복엽이다. 6~7월에 자주색 꽃이 밑을 향하여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로 9월에 익는다. 어린잎과 줄기는 식용하며 관상용으로 재배하기도 한다. 한국의 중부 이북, 만주, 우수리강, 아무르 등지에 분포한다.
  • 청가시덩 : (1)백합과의 낙엽 활엽 덩굴성 식물. 길이는 5~10미터이며,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인데 턱잎은 덩굴손으로 변한다. 6월에 노란색을 띤 녹색의 단성화가 산형(繖形) 화서로 피고 열매는 둥근 장과(漿果)로 9~10월에 검게 익는다. 어린잎은 식용하고 산림에서 자라는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검은종덩 : (1)미나리아재빗과의 낙엽 활엽 관목. 잎은 마주나고 5~9장의 작은 잎으로 된 우상 복엽이다. 작은 잎은 달걀 모양 또는 피침 모양이다. 6~8월에 종(鐘) 모양의 검은 자주색 꽃이 밑을 향해 피고 열매는 타원형으로 잔털이 나 있다. 산이나 들에 자라는데 우리나라 북부 지방에 분포한다.
  • 마음의 동 : (1)미국의 무용가이자 안무가 그레이엄이 1946년에 발표한 발레 작품. 질투의 화신 메디아가 잔혹한 복수를 하는 내용으로 많은 논락 속에 찬사와 비판을 함께 받았다.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41개) : 가, 각, 간, 갇, 갈, 갉, 갏, 감, 갑, 값, 갓, 강, 갖, 갗, 개, 객, 갠, 갤, 갬, 갭, 갱, 갸, 갹, 걈, 걍, 걔, 걘, 거, 건, 걸, 검, 겁, 겂, 것, 겄, 겇, 겉, 게, 겍, 겐, 겔, 겝, 겟, 겠, 겡, 겥, 겨, 격, 견, 겯, 결, 겸, 겹, 겻, 경, 겿, 곁, 계, 고, 곡, 곤, 곧, 골, 곬, 곰, 곱, 곳, 공, 곶, 곷, 곻, 과, 곽, 관, 괄, 괌, 광, 괘, 괙, 괜, 괠, 괨, 괭, 괴, 괵, 괼, 굄, 굉, 교, 굠, 굥, 구, 국, 굮, 군, 굳, 굴, 굼, 굽, 굿 ...

실전 끝말 잇기

굴로 시작하는 단어 (730개) : 굴, 굴ㅅ독, 굴가마, 굴가재, 굴간, 굴간기둥, 굴간제복, 굴갓, 굴강, 굴강처, 굴강하다, 굴개, 굴개건조기, 굴개굴진기, 굴개용접, 굴개콘베아, 굴개파쇄기, 굴개피, 굴개하다, 굴거, 굴거기낭, 굴거리, 굴거리가시꽃파리, 굴거리나무, 굴거리남, 굴거리낭, 굴거지, 굴걱거리다, 굴걱지, 굴걱치 ...
굴로 시작하는 단어는 730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굴로 끝나는 다섯 글자 단어는 93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